분류 전체보기 53

검색 엔진 최적화(SEO), 구글 클롤러(구글 봇) 이해하기

구글에서는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크롤러를 사용합니다. 웹 크롤러(=스파이더, 봇)의 역할로는 '색인 생성,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이 있습니다. 수 많은 크롤러 중 중심이 되는 것을 구글 봇이라고 합니다. 크롤러는 어떤 원리로 작동할까? 크롤러는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 작업을 수행합니다. 1. 크롤링 구글 봇이 프로그래밍 된 알고리즘대로 수행하며 웹 페이지를 돌아다니며 탐색합니다. 웹 사이트의 연결도, 디자인 최적화 등이 구글 봇의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니다.이때 사이트 맵도 영향을 미칩니다. 약간 면접관에게 자기소개서 제출하는 느낌? 2. 목록화(색인화) 구글 봇이 색인을 생성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주제, 태그' 등 아주 다양합니다. 적절한 색인화가 되기 위해서는 품질 ..

이혼 사유 1위 OO OO, 그리고 해결방법

이혼 사유 1위는 '성격 차이' 입니다. 권태기가 오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습니다. 1.대화가 적다. 2.상대에게 관심이 별로 없다. 3.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다. 4.자신의 의견이 옳다고 생각한다. 사실 위 현상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의견이 옳다고 생각하는데 상대방은 받아들여주지 않으니 대화가 적어지고 함께 보내고 싶은 시간은 적어집니다. 또 그 스트레스를 다른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관심 자체를 없애려 할 수 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의 근원적인 이유는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을 거야'라는 안일한 생각 때문일 수 있습니다. 사실 이또한 '귀찮음'이 한 몫합니다. 말하지 않아도 나와 가까운 사람이니까 알겠지. 라는 생각. 가까운 사람일수록 더욱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

카테고리 없음 2023.12.08

[기초 경제 용어] 승수효과

승수효과란 정부가 지출을 늘릴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발생하는 효과이다. 정부가 기업에 100억 가량의 재화를 구매하면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난다. 그러면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고 가계의 소비가 증가한다. 이는 다시 기업의 수요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처음 정부가 지출한 100억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한 뉴딜정책이 있다. 한 줄 요약 : 정부 지출(100억)-->기업 일자리, 이윤 증가-->가계의 소비 확대-->총 수요 증가(120억)

경제 2023.12.08

[말은 깔끔하고 센스있게] 왜 내 말을 이해하지 못할까?

다들 어렸을 청소년기에 '어른들은 이해못해' 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나요? 어른들이 생각이 짧아서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요? 사람들은 살아가며 생각이 계속 바뀌고 나이가 먹으면 예전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 문제의 본질은 세대간의 단절이 아닙니다. 단지 사람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100% 정확히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합의된 정의와 서로를 관찰하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이해를 하려 노력할 뿐입니다. 그렇기에 단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념은 부정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여기서 사용하고자 하는 뜻은 '집착을 끊는 것, 욕심을 버리는 것'입니다. 상대가 이해하지 못했다고 '너 바보냐? 왜 그것도 이해못해?'..

기타 2023.12.08

유동성의 함정 (일본경제의 몰락)

유동성의 함정 유동성(liquidity)는 경제학 개념으로 자산을 손실 없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화폐 경제가 주류가 된 오늘날, 화폐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화폐가 발행되면 경제 내에서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실물경제 활동의 매개로서 여러 곳으로 흘러다니는 성질에 착안하여 유동성 또는 통화(通貨)라고 부른다. ​ 유동성 함정이란 '유동성(liquidity)'이란 말과 "함정(trap)"이라는 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용어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제학자인 케인즈(Keynes)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유동성 함정은 중앙은행이 통화 또는 유동성을 아무리 많이 발행하더라도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활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경제가 유동성 함정에 빠졌다는..

경제 2023.12.07

컴퓨터 공학 용어정리

Algorithm (알고리즘) algorithm은 일련의 명령어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이 웹사이트나 앱 등 어떤 태스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 알고리즘을 디자인합니다. App (앱) 한국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이라고 하죠. 앱은 애플에 의해 대중화된 용어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Bite/Byte (바이트) 데이터의 사이즈 단위를 말합니다. 아마 MB(메가바이트 = 1백만 바이트), GB(기가바이트 = 10억만 바이트)라는 바이트보다 더 큰 단위도 어디선가 보신 적이 있을 거예요. 이 용어는 주로 어떤 디바이스 전체 용량 중 차지하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낼 때 씁니다. Bug (버그) 버그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이슈/문제를 가리킵..

돈의 힘(Power of Money)

미국의 힘 현재 미국을 비롯한 모든 국가들이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경제위기를 직면하고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지금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을까? ​ 미국은 현재 제로금리(zeroㆍ0)와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를 실시하고 있다. 이뜻은 돈의 가치가 급락했다는 것이다. 즉 화폐가 많아지면서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야한다. 하지만 미국의 달러는 인플레이션은 커녕 가치가 오르는 추세이다. ​ 미국은 왜 돈을 풀었을까? 당연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공황 때문이다. 2008년 경제 대공황이후 2020년 코로나 위기가 그렇다.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을 지키겠다는 결심이 서고 이는 사람들을 안전자산으로 몰리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의 인플레이션은 커녕 수요가 높아져 디플레이..

경제 2023.12.07

한국의 GMO재앙

우리 주위에 널렸다! 우리의 목숨줄을 서서히 조아리는,..하지만 우리는 알지못하는! 죽음은 갑자기 찾아오지 않는다 GMO란? GMO는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어이다. 유전자조작이란 한종으로부터 유전자를 얻은 후에 이를 다른 종에 삽입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생명체를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즉 ‘유전자조작 생물체’라고 부른다. GMO 생성 과정 GMO의 종류 1996년부터 미국에서는 상업적인 용도로 GMO식물들이 대대적으로 재배되고있다. 2020년 현재에는 더 많은 종류의 농산물로 재배되고있다. 가장먼저 GMO식물로 재배된 것은 면화와 콩 옥수수 등이었고, 이들은 거의 90%가 GMO라 할 수 ..

이슈 2023.12.07

맨큐의 경제학 [인구론]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은 영국의 성직자이며, 인구통계학자 이자 정치경제학자이다. 인구론에 대한 이론으로도 유명하다. 오늘날 그는 토머스 맬서스로 불리고 있으나, 그는 생전에 로버트로 불리기를 원했다. ​ ​ 인구론 맬서스는 빈민구제는 인구증가를 가속화하여 빈곤의 악순환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인구론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방치할 경우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 파국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여 식량 생산 수준에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구론을 접한 사람들은 대책보다 오히려 파국에 대한 예언에 관심을 가졌다. 심지어 인구증가와 빈민 구제를 지지했던 피트 수상도 입장을 바꾸어 법안을 모두 철회하였..

경제 2023.12.07

일자리 부족 & 해외의 리쇼어링

고용쇼크, 고용참사, 고용재난 등 일자리 문제가 우리 경제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일자리는 어디서 생겨나는가? 물론 공무원, 정치인 같은 관료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일자리를 기업으로 부터 나오게된다. 기업은 크게는 중소기업, 대기업으로 나뉘는데 몇몇 취중생들은 중소기업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대기업에 인원이 몰리게 되고 중소기업은 인력이 부족하면 취준생들은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리쇼어링(reshoring)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때부터 외국에 빼앗긴 기업을 다시 되찾아와 일자리에 대한 걱정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정책이 바로 리쇼어링 정책인데 자국내 기업의 법인세를 낮추고 기업의 이동비용을 지원 함으로써 외국의 기업을 다시 자국으로 복귀시키고 있다. 대표..

기타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