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5

[기초 경제 용어] 승수효과

승수효과란 정부가 지출을 늘릴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발생하는 효과이다. 정부가 기업에 100억 가량의 재화를 구매하면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난다. 그러면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고 가계의 소비가 증가한다. 이는 다시 기업의 수요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처음 정부가 지출한 100억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한 뉴딜정책이 있다. 한 줄 요약 : 정부 지출(100억)-->기업 일자리, 이윤 증가-->가계의 소비 확대-->총 수요 증가(120억)

경제 2023.12.08

유동성의 함정 (일본경제의 몰락)

유동성의 함정 유동성(liquidity)는 경제학 개념으로 자산을 손실 없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화폐 경제가 주류가 된 오늘날, 화폐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화폐가 발행되면 경제 내에서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실물경제 활동의 매개로서 여러 곳으로 흘러다니는 성질에 착안하여 유동성 또는 통화(通貨)라고 부른다. ​ 유동성 함정이란 '유동성(liquidity)'이란 말과 "함정(trap)"이라는 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용어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제학자인 케인즈(Keynes)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유동성 함정은 중앙은행이 통화 또는 유동성을 아무리 많이 발행하더라도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활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경제가 유동성 함정에 빠졌다는..

경제 2023.12.07

돈의 힘(Power of Money)

미국의 힘 현재 미국을 비롯한 모든 국가들이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경제위기를 직면하고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지금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을까? ​ 미국은 현재 제로금리(zeroㆍ0)와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를 실시하고 있다. 이뜻은 돈의 가치가 급락했다는 것이다. 즉 화폐가 많아지면서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야한다. 하지만 미국의 달러는 인플레이션은 커녕 가치가 오르는 추세이다. ​ 미국은 왜 돈을 풀었을까? 당연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공황 때문이다. 2008년 경제 대공황이후 2020년 코로나 위기가 그렇다.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을 지키겠다는 결심이 서고 이는 사람들을 안전자산으로 몰리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의 인플레이션은 커녕 수요가 높아져 디플레이..

경제 2023.12.07

맨큐의 경제학 [인구론]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은 영국의 성직자이며, 인구통계학자 이자 정치경제학자이다. 인구론에 대한 이론으로도 유명하다. 오늘날 그는 토머스 맬서스로 불리고 있으나, 그는 생전에 로버트로 불리기를 원했다. ​ ​ 인구론 맬서스는 빈민구제는 인구증가를 가속화하여 빈곤의 악순환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인구론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방치할 경우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 파국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여 식량 생산 수준에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구론을 접한 사람들은 대책보다 오히려 파국에 대한 예언에 관심을 가졌다. 심지어 인구증가와 빈민 구제를 지지했던 피트 수상도 입장을 바꾸어 법안을 모두 철회하였..

경제 2023.12.07

맨큐의 경제학 [국부론]

도덕 철학자 애덤 스미스 영국 고전 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저서로, 자유방임주의를 표방한 최초의 경제학 저서로 잘 알려져 있다. 스미스는 자신을 경제학자라고 부른 적이 없다. 그는 자신을 ‘도덕 철학자’(moral philosopher)라고 생각했다. 그가 [국부론]에서 다루고 있는 “한 나라의 부는 어떠한 질서 또는 원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 질문도 그가 평생을 두고 연구한 도덕철학이라는 틀 안에서 조망했을 따름이다. ​ ​ 국부론이란? 스미스는 부의 원천은 노동이며, 부의 증진은 노동생산력의 개선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생산의 기초를 분업(分業)에 두었다. 애덤 스미스는 핀(pin) 공장의 사례를 들어 분업의 중요..

경제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