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맨큐의 경제학 [인구론]

giung 2023. 12. 7. 20:05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출처:위키트리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은 영국의 성직자이며, 인구통계학자 이자 정치경제학자이다. 인구론에 대한 이론으로도 유명하다. 오늘날 그는 토머스 맬서스로 불리고 있으나, 그는 생전에 로버트로 불리기를 원했다.

인구론

서스는 빈민구제는 인구증가를 가속화하여 빈곤의 악순환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인구론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를 방치할 경우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 파국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여 식량 생산 수준에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구론을 접한 사람들은 대책보다 오히려 파국에 대한 예언에 관심을 가졌다. 심지어 인구증가와 빈민 구제를 지지했던 피트 수상도 입장을 바꾸어 법안을 모두 철회하였다. 맬서스는 인구 감소를 위해 전염병이 창궐하기 쉽게 주거공간의 거리를 좁혀 사람을 밀집시키고, 비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약 개발도 못하도록 하였다.

인구론의 비판

맬서스의 인구론은 '식량은 산술급수적 성장 법칙을 따른다' '인구는 기하급수적 성장 법칙을 따른다' '노동자 계층이나 하위 계층 사람들 대다수는 물질적 생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출산율을 높인다'는 세 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1​.

맬서스는 인구문제를 실증적 자료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못함으로써 통계학적 실수를 범하였다. 특히 미국의 인구가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간과하고 인구 증가율을 무조건 출생율에서 사망율을 뺀 것 으로 보았다.

2.

기술의 발달을 예상하지 못하고 식량의 증가를 산술적인 증가로 계산한 것이다. 하지만 영국은 자급자족을 넘어 곡류를 수출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인구 증가가 아니라 오히려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떠오르고 있다. 게다가 경제학자들의 관심 분야는 전체 인구가 형성되는 과정인 결혼, 이혼, 육아 등 세부적인 항목으로 확장되고 있다.

출처:생글생글 ​

3.​

가종 피임기구와 약물이 발명되어 인구증가가 억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

맬서스의 이론은 찰스 다윈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게된다. 다윈은 생존하기 위해 경쟁을 하고, 그중 가장 적응을 잘하는 개체만이 살아남는다고 주장했다. 다윈은 살아남은 개체들을 '자연선택' 됐다고 말한다. 당시 학자들은 다윈으로 부터 영감을 받아 인간들도 계층을 나누게된다. 다윈의 이론이 왜곡되어 벌어진 일이 제2차 세계대전이다. 유대인과 이민자를 열등하게 생각한 히틀러는 이런 사상을 바탕으로 '인종 청소'를 강행한 것이다.

출처:위키백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경제 용어] 승수효과  (1) 2023.12.08
유동성의 함정 (일본경제의 몰락)  (1) 2023.12.07
돈의 힘(Power of Money)  (2) 2023.12.07
맨큐의 경제학 [국부론]  (1) 2023.12.07